우주42 달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 지난번에 달의 기원 가설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사실 달의 기원에 대한 정확한 해답은 아직 알 수 없습니다만 달은 언제나 하늘을 밝혀주면 자연적으로나 문학적으로나 많은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달이 우리의 밤하늘과 생태계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조석(조수) 조석 또는 조수란 달과 태양의 기조력에 의해 지구의 바닷물이 하루에 두 번씩 차오르고 빠지는 현상으로, 밀물과 썰물 현상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기조력이란 쉽게 생각하면, 달과 태양과 같은 천체의 중력에 의해 바닷물이 당겨지는 힘을 말합니다. 달과 인접한 지구면과 그 반대편면이 바닷물이 가장 차오르는 만조가 되며, 그 외 옆면이 바닷물이 가장 빠지는 간조가 됩니다. 질량을 비교하면 태양이 달보다 월등하게.. 2024. 5. 5. 달의 기원 가설 달은 우리의 하늘을 빛나게 만들어주는 아름다운 천체 중 하나입니다. 지구와의 거리가 가까워 다른 별들보다 그 모양이 크고 뚜렷하고 보여 많은 상상력과 감성을 자극하고, 달빛 특유의 반짝임과 색깔은 평온함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전해줍니다. 그렇다면 인류 천문학의 역사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달은 언제부터 지구와 함께 했을까요? 달의 기원은 아직까지도 확실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연구의 대상입니다. 이번에는 달의 기원과 관련된 여러 가지 가설 중 주요한 가설 4가지에 대해 탐구해 보겠습니다. 1. 대형 충돌 가설약 45억 년 전, 지구 초기에 대형 충돌로 인해 지구와 다른 천체가 충돌하여 달이 형성되었다는 가설입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대략 45억 년 전, 초기 태양계의 지구 주변에는 여러 천체.. 2024. 5. 5. 명왕성이 퇴출된 이유 수금지화목토천해명. 20대 후반에 접어드신 분들은 어렸을 때 다들 태양계 행성을 이렇게 외운 기억이 있을 텐데요, 돌연 명왕성이 태양계 행성의 자리에서 퇴출되어 버립니다. 명왕성은 언제, 왜 갑자기 그 지위를 박탈당하고 쫓겨나게 되었는 명왕성의 발견부터 행성 지위 박탈까지 그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1. 명왕성의 발견 1781년 3월 13일에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에 의해 태양계의 7번째 행성인 천왕성이 발견됩니다. 하지만 발견 당시 천왕성은 다른 행성들과는 다른 궤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천체의 중력이 작용하고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이 필요했습니다. 이 가설에 따라 천왕성의 궤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행성의 위치를 예측한 뒤, 독일의 천문학.. 2024. 5. 4. 태양계의 행성 우리 지구가 속해 있는 태양계는 우주의 관점에서는 정말 가깝지만 사람의 입장에서는 결코 다가가기 힘든, 멀리 떨어진 미지의 세계입니다. 이번에는 이 태양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거기에 속한 행성들은 어떤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지 탐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태양계태양계(Solar System)는 우리 은하에 위치한 행성계로 거대한 태양으로부터 시작됩니다. 뜨거운 빛과 열을 발산하는 태양을 중심으로 다양한 행성과 소행성, 위성, 혜성 등이 공전하고 있습니다. 태양의 주요 구성 요소 – 태양: 태양은 태양계의 중심에 있는 별로, 99.86%의 태양계 전체 질량을 차지합니다. 태양은 수소와 헬륨 등의 가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엄청난 양의 열과 빛을 방출합니다.– 행성: 태양 주위를 돌며 .. 2024. 5. 4. 이전 1 ··· 7 8 9 10 1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