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성3

화성 테라포밍 프로젝트 지난 포스팅에서 골디락스 존을 통해 외계 생명체를 탐색하거나 우주 탐사의 방향을 정하는 등의 연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봤습니다. 아직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만 타행성으로의 이민에 대한 언급도 했었는데, 놀랍게도 관련 연구가 실제로 진행 중에 있다고 합니다. 바로 화성 테라포밍 프로젝트인데, 테라포밍이 무엇인지, 어떻게 연구를 진행 중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테라포밍(Terraforming)이란? 테라포밍은 천체나 행성의 환경을 지구와 유사하게 변화시키는 과정이나 기술이라는 의미로 테라(terra, 지구) + 포밍(forming, 형성)의 합성어입니다. 테라포밍은 대상 천체의 기후, 지형, 대기 조성 등을 변화시켜 지구와 비슷한 조건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인류의 우주 탐사와 개척을.. 2024. 5. 5.
달이 지구에서 점점 멀어지는 이유 달이 지구로부터 매년 3cm가량 멀어지고 있다는 사실, 다들 알고 계셨나요? 현재 지구와 달의 평균 거리는 약 384,400km입니다(근지점 363,104km / 원지점 405,696km). 그런데 약 45억 년 전, 달이 막 탄생했을 때에는 달과 지구와의 거리가 불과 24,200km 정도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도 달은 꾸준히 조금씩 멀어지고 있다고 하는데, 달은 왜 자꾸만 멀어지는 걸까요?   위 그림은 달에 중력에 의해 지구에서 조석이 어떻게 생기는 지를 보여줍니다. 그림에서 보이듯이 달과 인접한 지구면과 그 반대편면이 바닷물이 가장 차오르는 만조가 되며, 그 외 옆면이 바닷물이 가장 빠지는 간조가 됩니다.  그런데 지구와 달은 저 상태로 고정적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 자전과 공전을 합.. 2024. 5. 5.
태양계의 행성 우리 지구가 속해 있는 태양계는 우주의 관점에서는 정말 가깝지만 사람의 입장에서는 결코 다가가기 힘든, 멀리 떨어진 미지의 세계입니다. 이번에는 이 태양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거기에 속한 행성들은 어떤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지 탐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태양계태양계(Solar System)는 우리 은하에 위치한 행성계로 거대한 태양으로부터 시작됩니다. 뜨거운 빛과 열을 발산하는 태양을 중심으로 다양한 행성과 소행성, 위성, 혜성 등이 공전하고 있습니다. 태양의 주요 구성 요소 – 태양: 태양은 태양계의 중심에 있는 별로, 99.86%의 태양계 전체 질량을 차지합니다. 태양은 수소와 헬륨 등의 가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엄청난 양의 열과 빛을 방출합니다.– 행성: 태양 주위를 돌며 .. 2024. 5. 4.
728x90
반응형